-
Async, awaitNode.js 입문주차 2023. 10. 31. 14:49
보통, 비동기 함수는 promise와 resolve,then을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. 또한 우리는 비동기함수(async)에 await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 할 수 있다. function 함수이름() { return Promise.resolve('값'); } // 위와 아래의 함수는 같은 동작을 보여준다. async function 함수이름2() { return '값'; } 함수이름(); // Print: Promise { '값' } 함수이름2(); // Print: Promise { '값' } 위와 같이 두 값은 같은 값을 나타낸다. 풀어서 이야기해보면 함수이름이라는 ffunc는 값을 풀어내는 비동기 함수를 같고있는 func고 아래 비동기 함수의 함수이름 2도 값으로 나타나는 비동기 함수이다. 그러니..
-
동기와 비동기Node.js 입문주차 2023. 10. 31. 14:37
동기와 비동기 동기 => 먼저 실행된 코드의 결과가 나올때까지 대기하는 것 ex)커피를 시키려고 줄을 서면 주문하고 커피를 받고, 이런 과정을 반복하는 것, 비동기 => 실행된 순서와 관계없이 결과가 나오는것을 말한다. ex) 커피를 주문 먼저 받고 나오는 순서대로 주는것, -- Blocking Model & Non-Blocking Model blocking model이란 실행 제어권을 다른곳에 넘기지 않아 다른 작업을 못하고 대기 Non-Blocking Model이란 실행 제어권을 다른곳에 넘겨 다음 코드가 실행. ex) function first() { console.log('First'); } setTimeout(first, 1000); // 1000ms(1초) 뒤에 first 함수를 실행해준다. ..
-
10/23일 오늘의 알고리즘(R)카테고리 없음 2023. 10. 23. 19:23
n 번째 원소부터 정수 리스트 num_list와 정수 n이 주어질 때, n 번째 원소부터 마지막 원소까지의 모든 원소를 담은 리스트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function solution(num_list, n) { // num_list에서 n번째 원소부터 마지막 원소까지의 부분 배열을 추출 const result = num_list.slice(n - 1); return result; } ------------ 정수 부분 실수 flo가 매개 변수로 주어질 때, flo의 정수 부분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function solution(flo) { return Math.floor(flo); } -- -------------- N의배수 n의 ..
-
배열의 원소길이 (R), 삼각형 성립조건, 특정 문자 제거하기, 구분자를 이용한 모음제알고리즘 초보 버섯난기(R) 2023. 10. 20. 16:37
--배열의 원소길이 ///EASY하다 EAST해 function solution(strlist) { const countstr = []; for(let i = 0; i el.length) } 미...ㅊ....ㅣㄴ ------삼각형 성립조건 선분 세 개로 삼각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. 가장 긴 변의 길이는 다른 두 변의 길이의 합보다 작아야 합니다.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담긴 배열 sides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세 변으로 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면 1, 만들 수 없다면 2를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function solution(sides) { sides.sort((a, b) => a - b); const longest = sides[..
-
주사위 만들기 1, 짝수 홀수 만들기(R), 키재기 알고리즘알고리즘 초보 버섯난기(R) 2023. 10. 20. 12:28
function solution(a, b) { if (a % 2 === 1 && b % 2 === 1) { // a와 b가 모두 홀수일 때 return a * a + b * b; } else if (a % 2 === 1 || b % 2 === 1) { // a와 b 중 하나만 홀수일 때 return 2 * (a + b); } else { // a와 b가 모두 홀수가 아닐 때 return Math.abs(a - b); } } function solution(num_list) { let 짝수Count = 0; let 홀수Count = 0; for (let i = 0; i item > height); return answer.length; } ///다른이가 풀이한 키재는 알고리즘, item을 이용하면 arra..
-
배열만들기 2 (R)알고리즘 초보 버섯난기(R) 2023. 10. 20. 11:55
////우선, number을 str로 바꿔서 0.5을 포함하고 있는 number을 제외하는 기능을 하나 만들자. ///후에, result 배열을 만들어 반복적으로 필터된 넘버를 push해주자. ///또한, if를 사용해서 필터된 넘버가 없으면 즉, result값이 0에 수렴하면 -1을 return해주자 /// else if을 사용하여 result값을 배출해주자. function solution(l, r) { function filterA(number) { const strNumber = String(number); for (let i = 0; i